눈병. 우리가 흔히 부르는 이 말은 눈에 생기는 병을 뜻하는데 정확히는 눈의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결막염을 뜻한다. 이 질병이 주로 초여름에서 가을정도에 유행해 조심해야 한다.
눈은 잠잘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공기 중에 떠다니는 오염 물질, 세균 등에 노출돼 있다. 거기다 무의식적으로 씻지 않은 손으로 눈을 비비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눈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보통 흰자위 표면과 눈꺼풀 안쪽을 보호하는 결막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해 염증이 생기면 결막염에 걸렸다고 표현한다.
증상은 충혈, 눈꼽, 눈물, 이물감, 안구통, 시력저하 등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눈을 뜨는 것 조차 어렵다.
특히 여름철에는 직접적인 신체 접촉이나 수영장 물을 통해 유행성 결막염에 걸리기 쉬운데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유행성 각결막염, 급성 출혈 결막염 등이 있다.
유행성 아폴로 눈병? 감염 시 시력 저하도
유행성 각결막염은 감기 원인 바이러스이기도 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눈병으로 가장 흔한 유행성 결막염이다. 결막뿐 아니라 각막에도 염증이 동반될 수 있기에 각결막염이라고도 부른다. 환자와 직접 접촉이 있을 시에 발생하고 1주일가량의 잠복기를 거쳐 눈의 가려움증과 눈곱, 충혈, 이물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심할 경우엔 각막 군데군데에 혼탁이 생겨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시력 저하는 통상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돌아온다. 보통 한 쪽이 걸리면 다른 한 쪽도 감염된다.
급성 출혈 결막염은 엔테로바이러스가 원인인데 미국 아폴로 우주선이 달에 착륙한 1969년에 유행했다고 해서 '아폴로 눈병'이라고도 부른다. 환자가 사용하는 물건이나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고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흰자위에 작은 출혈이 생기면서 눈의 가려움증, 눈물, 충혈, 이물감,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전염력이 매우 강하고 발병 속도도 빠르지만 회복도 빠르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끊임없는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약제는 없다. 따라서 치료는 증상 완화와 합병증을 막는데 집중한다. 2차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소염제 등의 투여다. 초기에는 냉찜질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우리 몸의 면역기능에 의해 치유해야하므로 병의 경과가 더뎌 답답할 수도 있다.
유행성 결막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환자들은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전염력은 발병 후 약 2주간 지속되고 눈을 비빈 뒤에 수건, 손잡이, 엘리베이터 버튼 등을 만지면 감염시킬 수 있다. 특히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은 방문을 삼가야 한다.
걸리지 않은 사람도 외출 시 손을 씻기 전에는 절대 눈에 손을 가져가서는 안 된다. 공기로는 전파가 되지 않으니 손을 자주 씻으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문정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여름에 유행하는 결막염은 전염력이 강하므로 감염되지 않기 위해서는 손 위생이 가장 중요하다”며 “휴양지에 놀러가 눈에 흙이 들어가도 절대 손으로 긁지 말고 만약 가족 중 결막염 환자가 발생했다면 반드시 수건, 침구류 등을 따로 사용하라”고 강조했다.
곽도훈 기자 kwakd@e-focus.co.kr
'이포커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직무 ⑤ 웹 개발자] '신의 직종? 연봉이 얼마길래' (0) | 2021.08.03 |
---|---|
'델타 플러스' 변이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일까? (0) | 2021.08.03 |
[IT 직무 ④웹 퍼블리셔] 'HTML·CSS·JavaScript·jQuery', 웹 언어의 마술사 (0) | 2021.07.28 |
'궐련형 전자 담배 VS 일반 담배' 종결할 연구 결과 나왔다 (0) | 2021.07.22 |
"준중형 SUV 뭐 사지" 폭스바겐 티록 VS 기아 신형 스포티지 (0) | 2021.07.22 |